top of page
시조 장절공 (壯節公)

 평산(平山)은 황해도(黃海道) 남동쪽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고구려(高句麗) 때 대곡군(大谷郡) 또는 다화실(多和悉)이었던 것을 신라(新羅) 경덕왕(景德王)이 영풍(永豊)으로 고쳤으며, 고려(高麗) 초에 평주(平州)로 하였고 1272년(원종 13) 부흥군(復興郡)에 합쳤다가 충렬왕(忠烈王) 때 다시 복구하였다. 조선(朝鮮) 태종(太宗)13년(1413년)에 평산(平山)으로 바꾸고 도호부(都護府)로 승격하였으며, 고종(高宗) 때 군(郡)이 되었다.평산 신씨(平山申氏)의 시조(始祖)는 고려(高麗)의 개국공신(開國功臣)으로 벽상공신(壁上功臣) 삼중대광 태사(三重大匡太師)에 오른 신숭겸(申崇謙)이다.

 문헌에 의하면 그의 초명(初名)은 능산(能山)으로 전남 곡성 출신인데, 태봉(泰封: 신라 52대 효공왕 때 궁예가 송악에서 세운 나라)의 기장으로 있다가 고려 태조(高麗太祖) 원년918년 배현경(裵玄慶)·홍 유(洪 儒)·복지겸(卜智謙) 등과 더불어 궁예(弓裔)를 폐하고 왕 건(王 建)을 추대하여 고려(高麗)가 건국(建國)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여 고려개국원훈(高麗開國元勳)으로 대장군(大將軍)에 올랐다.<어느날 왕건이 평주(平州: 平山)로 사냥을 나가 삼탄(三灘)을 지날 때 마침 고공(高空)을 나는 세 마리의 기러기를 보고 수행하는 제장(諸將)에게 「누가 저 기러기를 쏘아 맞히겠는가?」하고 묻자 그가 맞히겠다고 아뢰었다. 왕건이 그에게 궁시(弓矢)와 안마(鞍馬)를 내리며 쏘라고 하자 그는 「몇 번째 기러기를 쏘리까」하고 물었다. 왕건이 웃으며 「세번째 기러기 왼쪽 날개를 쏘라」고 하자 과연 세 번째 기러기의 왼쪽 날개를 명중시켜 떨어뜨리자 왕건이 탄복하고 기러기가 날던 땅 3백결을 하사하고 본관을 평산으로 삼게 하였다.>

 그후 태조(太祖) 10년(927년) 공산동수(公山桐籔)에서 견훤(甄萱) 군사와의 싸움에 태조(太祖)와 함께 출정하여 포위로 전세가 위급해지자 태조와 용모가 흡사한 숭겸(崇謙)이 태조 왕건를 피신시키고 대신 어거(御車)를 타고 출전하여 전사하였다. 그의 죽음을 슬퍼한 태조는 시신을 잘 보살펴 춘천에 예장(禮裝)하고 벽상호기위태사개국공삼중대광 의경대광위이보지절저정공신(壁上虎騎衛太師開國公三重大匡 毅景戴匡衛怡輔砥節底定功臣)에 추봉하였으며, 숭겸의 아들 보장(甫藏)을 원윤(元尹)으로 삼고, 지묘사(智妙寺 : 경북 달성군 공산면 지묘동)를 세워 그의 명복을 빌었다. 1120년(예종 15) 왕이 서경(西京: 평양)에 행차하여 <팔관회>가 열렸을 때 <도이장가>를 지어 김 낙(金 樂)과 신숭겸의 공을 추도하였다.

始祖 壯節公 尊影
​(출처:평산신씨 대동보)

© 2020 평산신씨 전첨공 종중회 All rights reserved

bottom of page